티스토리 뷰

반응형

건축학 개론 포스터

 

2012년 개봉한 영화 건축학개론은 많은 사람들에게 첫사랑의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작품입니다. 서정적인 연출과 현실적인 스토리로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한국 멜로 영화의 대표작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 글에서는 건축학개론의 줄거리, 주요 등장인물, 그리고 감상평을 통해 이 영화가 왜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울렸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영화 '건축학개론' 줄거리

건축학개론은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첫사랑의 설렘과 아쉬움을 그려낸 영화입니다. 이야기는 대학 시절 건축학개론 수업에서 처음 만난 서연과 승민의 관계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승민(이제훈 분)은 건축학과 신입생으로 강의에서 만난 음대생 서연(수지 분)에게 첫눈에 반합니다. 서연은 활발하고 외향적인 성격을 지닌 반면 승민은 내성적이고 소극적인 성격을 가졌습니다. 승민은 서연을 좋아하지만 자신의 감정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은 함께 과제를 하며 점차 가까워지고 승민은 서연에게 점점 더 깊이 빠져듭니다.

하지만 오해와 타이밍이 맞지 않는 상황 속에서 두 사람의 관계는 어긋나고 결국 이들은 각자의 길을 가게 됩니다.

15년 후 승민(엄태웅 분)은 성공한 건축가가 되었고 서연(한가인 분)은 그를 찾아와 오래된 집을 다시 짓고 싶다고 의뢰합니다. 재회한 두 사람은 과거의 감정을 되새기지만 이미 서로 다른 삶을 살고 있는 현실을 깨닫게 됩니다. 과거의 추억과 감정이 교차하는 가운데 승민은 서연의 집을 완성하며 그들의 첫사랑 이야기는 마무리됩니다.

2. '건축학개론' 등장인물 소개

1) 승민 (이제훈 / 엄태웅)

승민은 대학 시절 서연을 짝사랑했던 건축학과 학생입니다. 조용하고 소극적인 성격 탓에 자신의 마음을 서연에게 솔직하게 표현하지 못합니다. 시간이 흘러 그는 실력 있는 건축가로 성장하지만 첫사랑의 기억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2) 서연 (수지 / 한가인)

서연은 자유롭고 솔직한 성격을 가진 음대생입니다. 승민과 가까운 친구 사이로 지내면서도 승민이 자신을 좋아하는 것을 알고 있었는지 모르는지 애매한 태도를 보입니다. 성인이 된 후 그녀는 승민에게 자신의 집을 새롭게 지어달라고 의뢰하며 다시 만나게 됩니다.

3) 나쁜 남자 (유연석)

서연이 대학 시절 만났던 남자로 승민이 서연을 좋아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서연은 그와 연애를 시작합니다. 승민의 입장에서는 씁쓸한 존재이지만 서연이 그를 좋아한 이유도 충분히 현실적입니다.

4) 납뜩이 (조정석)

승민의 절친으로 영화의 유쾌한 분위기를 책임지는 캐릭터입니다. "납뜩이 안 돼"라는 유행어를 탄생시킨 인물로 승민에게 연애 조언을 하면서도 현실적인 조언을 아끼지 않습니다.

3. 영화 '건축학개론' 감상평

1) 현실적인 첫사랑 이야기

이 영화는 전형적인 로맨틱 영화와는 다르게 첫사랑의 이상적인 모습뿐만 아니라 현실적인 갈등과 어긋남까지 사실적으로 그려냅니다. 누구나 한 번쯤 경험했을 법한 감정들이 영화 속에서 자연스럽게 펼쳐지며, 많은 관객들이 공감할 수 있는 요소가 많습니다.

2) 섬세한 연출과 음악

이 영화는 과거와 현재를 오가는 연출 방식이 돋보입니다. 두 시점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면서도 감정선이 깨지지 않도록 신중하게 편집되었습니다. 또한 영화의 OST 기억의 습작 (김동률 노래)은 극의 감성을 더욱 극대화하며 영화가 끝난 후에도 깊은 여운을 남깁니다.

3) 배우들의 훌륭한 연기

수지와 이제훈은 풋풋한 대학생 역할을 완벽하게 소화하며 한가인과 엄태웅은 감정을 눌러 담은 성숙한 연기를 선보였습니다. 특히 조정석이 연기한 납뜩이 캐릭터는 코믹한 감초 역할을 하며 극의 균형을 잡아줍니다.

4) 첫사랑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영화

첫사랑은 항상 아름답지만 현실에서는 이뤄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영화는 이런 현실을 애틋하게 담아내면서도 과거를 회상하며 현재를 살아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건축학개론은 단순한 로맨스 영화가 아니라 첫사랑의 설렘과 아쉬움을 섬세하게 그려낸 작품입니다. 누구에게나 첫사랑은 특별한 기억으로 남아 있고 이 영화는 그 감정을 다시금 떠올리게 해줍니다. 현실적인 스토리, 감성적인 연출 그리고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가 조화를 이루며 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여운을 남깁니다. 만약 아직 건축학개론을 보지 않았다면 이 영화를 통해 당신의 첫사랑을 다시 한번 떠올려보는 것은 어떨까요?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